위험 관리론 > 판매 도서

본문 바로가기
HOME
사이트 내 전체검색

070-4269-9223

평일 AM 10:00 ~ PM 6:00
일/공휴일 게시판 이용해주세요!
Email : abookself@naver.com
서점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위험 관리론
    위험 관리론
    30,000
서점 비쥬얼
위험 관리론 > 판매 도서
300
리뷰 0 위시 0

위험 관리론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북퍼브
판매가격 3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위험 관리론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책 소개

 

모든 경제주체는 위험을 안고 살아간다. 이때 위험은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상처를 입거나 질병에 걸리고, 손해를 보거나 길을 잃을 수도 있다. 이렇듯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위험이지만, 경제주체의 범위를 줄이면 위험의 범위도 줄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주로 기업활동, 경영 관련 위험에 대해 논한다.

물론 기업경영과 관련하여서도 위험의 범위와 종류가 다양하고, 산업, 기업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업의 경우 존재목적은 이윤창출이 우선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기업을 설립하고 성장을 도모하며 기술을 개발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며, 경젱력을 높이고 효율적 운영을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우리가 역사에서 보듯이 기업 역시 탄생과 성장 그리고 변신을 하거나 쇠락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와중에서도 다양한 도전과 위험에 직면하게 되고 이를 이겨냈을 때는 현상유지 혹은 성장의 발판이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했을 때는 존속여부에까지 영향을 미치곤 한다.

이 책에서는 기업이 마주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그리고 인지되고 식별된 위험에 대한 관리방안에 대해 논하고 있다. 기업이 사업을 영위해 나갈 때 통상적으로 마주할 수 있는 위험들이 있고 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위험도 있을 수 있다. 또 알지도 못한 위험이 급작스레 다가올 수도 있고 알면서도 당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들 위험에 대비해 경영활동의 일환으로서 위험관리 활동을 하거나, 전문 관리업체에 의뢰를 하거나, 보험회사에게 관련 위험을 전가해 보거나, 적립금을 쌓아놓는 경우들이 있다. 물론 기업마다 가장 최적의 방안을 강구하고자 할 것이다.

선진기업들은 물론 국내 유수 기업들도 위험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시간과 노력, 재원을 투입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사적 위험관리 방안이 소개되고 많은 기업들의 호응을 받고 있기도 하다. 다만, 전사적 위험관리 역시 적지 않은 미흡한 점들을 보이고 있어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책에서는 위험 그리고 위험관리에 대한 정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한 소개, 그리고 위험관리 방안과 절차에 대해 논하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위험관리를 위한 방안들에 대해 설명한다. 기업은 위험관리를 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긴다. 책임을 부과하여 제대로 된 이행이 될 수 있도록 하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략수립과 이행을 위하여 필요한 상황파악을 위하여 내부 및 외부 그리고 위험관리 주변환경에 대해 살피게 된다. 기업은 지속성 확보를 위하여 가장 중심이 되는 핵심사업 및 평판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기업의 위험관리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위험문화에 대해 소개하고 실무적으로 요구되는 위험관리활동에서 필요한 부분에 대해 논하고 있다. 또한 운영위험 등 기업경영 영역별 위험관리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외환위기 때 수많은 기업들이 도산하는 것을 경험한 우리에게도 익숙한 사업의 지속성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전사적 위험관리를 포함한 위험관리 관련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위험거버넌스에 대해 관련 핵심 이슈들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되어 있으며, 내부통제, 내부감사, 위험 보증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경영층 혹은 의사결정 주체가 위험관리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여기에 더하여 기업의 구성원 각자가 위험 및 위험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는 것이 기업성공의 열쇠라 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박상범

 

Univ. of Nebraska 경영학박사

동서대학교 금융보험학과 교수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공익심판위원

고양시 인사위원

선물협회 회장

고양시 평생교육협의회 회장

육군병장, 대한항공, 한국전력공사 근무

 

 

목차

 

1편 위험이란 무엇인가? 3

1장 위험의 정의 4

2장 위험의 구분 10

3장 위험의 분류 16

4장 위험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26

5장 위험의 유사개념 33

 

2편 위험관리의 역사적 고찰 및 학문적 위상 42

6장 위험관리의 역사적 고찰 43

7장 위험관리의 학문적 위상 55

 

3편 위험관리의 범위와 목표 66

8장 위험관리 개요 67

9장 위험관리의 방향 87

10장 위험관리의 원칙 102

11장 위험관리 표준 106

12장 위험관리 맥락 설정 115

13장 전사적 위험관리 120

14장 대안적 접근 140

 

4편 위험 사정 147

15장 위험사정의 의미 148

16장 위험분류 시스템 162

17장 위험분석과 평가 168

18장 손실 통제 174

19장 위험의 이점 178

 

5편 위험 대처 185

20장 위험매트릭스 기준 위험대처 방안 186

21장 위험통제 기법 197

22장 보험과 위험전가 212

23장 사업의 지속 221

 

6편 위험 전략 235

24장 핵심사업 프로세스 236

25장 평판과 사업 모델 243

26장 위험관리 맥락 253

27장 위험관리 책임론 266

 

7편 위험 문화 275

28장 위험인식 문화 276

29장 위험성향의 중요성 288

30장 위험훈련과 소통 299

31장 위험관리 실무자 역량 307

 

8편 위험 거버넌스 317

32장 기업지배구조와 위험 거버넌스 318

33장 이해관계자의 기대 333

 

9편 특정 위험관리 340

34장 운영위험 관리 341

35장 프로젝트 위험관리 350

36장 공급망 사슬 관리 358

37장 인적 관리 368

38IT 시스템 375

39장 기타 위험관리 378

 

10편 리스크 어슈런스 385

40장 내부통제 환경 386

41장 리스크 어슈런스 기법 395

42장 내부감사 활동 406

43장 위험관리 보고 417

 

참고문헌 420

색인 429

 

 

표 목 차

<1-1> 보험학 연구자별 위험에 대한 정의 6

<1-2> 주요 해외 기관의 위험에 대한 정 의 7

<1-3> 기관/조직별 위험의 정의 7

<2-1> 기업의 위험 요인 10

<2-2> BIS의 경영리스크 사건 분류 12

<2-3> 실무적 관점에서 본 경영위험의 유형 13

<3-1> 위험의 적시 23

<4-1> 위험, 위기, 위해, 재난의 정의 26

<4-2> 위험과 불확실성의 차이 30

<6-1> 선진기업들의 중점 리스크관리 유형 53

<8-1> 위험관리의 정의_기관 및 조직 69

<8-2> 위험관리를 통한 세금 차이 예시 75

<8-3> 주요국의 기업 위험관리 법규 및 지침 82

<9-1> 위험요인 인식/식별 방법 93

<9-2> 기업 및 조직 내외의 이해관계자 9 6

<10-1> 위험관리의 하드 이익과 소프트 이익 104

<10-2> 위험/ 위험관리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각 차이 요약 105

<11-1> COSO 전사적 위험관리 큐브 구성요소 111

<13-1> 전사적 위험관리의 정의 122

<13-2> 정량적 지표 개요 131

<13-3> 전사적 위험관리의 이점 133

<15-1> 하향식 방법의 장단점 150

<15-2> 상향식 방법의 장단점 151

<15-3> 정량적 위험사정 방법 152

<15-4> 리스크장부 예시 153

<15-5> 정량적 방법의 장단점 154

<15-6> 발생가능성 구간 척도 156

<15-7> 위험발생으로 인한 충격의 척도 구분 사 례 156

<16-1> 대표적 위험분류 시스템 163

<16-2> FIRM 위험 스코아카드의 특성 165

<16-3> PESTLE 위험 분류 시스템 정리 166

<17-1> 위험의 심각성 벤치마크 사례 170

<18-1> 대표적 순수위험과 종속적으로 영향을 받는 하부위험 175

<19-1> 위험의 이점에 대한 정리 178

<19-2> 위험성 인덱스_재무적 위험 구성요소 182

<19-3> 위험성 인덱스_기초구조 위험 구성요소 182

<19-4> 위험성 인덱스_평판 위험 구성요소 182

<19-5> 위험성 인덱스_시장 위험 구성요소 183

<20-1> (순수)위험에 대한 4가지 대처방법 188

<20-2> 핵심 종속요인과 심각한 위험 사례 189

<21-1> 4가지 위험 조치/통제 방법 설명 197

<21-2> 위험 조치/통제의 계층적 적용 사례 199

<2 2-1> 보 험 형태 214

<22-2> 필요보험 리스트 215

<23-1> 사업지속관리의 주요 행위 227

<23-2> 운영상 중단_원천별 카테고리 및 사례 231

<25-1>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이슈의 범주 246

<25-2> 평판의 구성요소 250

<25-3> 평판에 대한 위협 252

<26-1> 위험관리 프레임워크 253

<26-2> 이사회를 위한 위험관리 정책 255

<26-3> 위험관리 문서화 형태 258

<26-4> 위험관리 매뉴얼 2 59

<26-5> 위험관리 규약(protocol) 260

<27-1> 위험관리 책임 267

<27-2> 비상임이사의 역할 예시 270

<27-3> 보험위험관리자의 역할 270

<28-1> 성공적 기업위험관리(전사적 위험관리)를 위헌 걸음 277

<28-2> 위험관리 이니셔티브 실행을 위한 장벽과 성공인자 278

<28-3> 위험인식 문화 279

<28-4> 위험성숙 4단계 283

<29-1> 위험성향에 대한 정의 289

<29-2> 위험성향 표방 297

<29-3> 제조업체 위험성향 표방 298

<30-1> 위험소통 가이드라인 302

<30-2> 대학의 내부제보자 관련 프로세스 규정 303

<30-3> 위험관리정보시스템 305

<31-1> 위험관리 기술력 307

<31-2> 위험관리 실무자를 위한 대인관계 기술/솜씨 309

<31-3> 훈련코스 구조 311

<32-1> 기업지배구조 원칙 321

<32-2> 공공생활에 대한 Nolan 원칙 325

<33-1> 주주들을 위한 데이터 334

<33-2> 내부고발 정책 사례 335

<34-1> 은행의 운영위험 345

<34-2> 금융기관과 제조업회사의 운영위험 346

<35-1> 프로젝트 위험관리에 대한 PRAM 모 델 356

<36-1> 외주화와 위험 364

<36-2> 외주계약의 범주 364

<40-1> 내부통제에 대한 정의 386

<40-2> CoCo의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390

<41-1> 감사위원회의 책임 396

<41-2> 위험관리위원회의 책임 398

<41-3> 위험보증 정보원 401

<42-1> 내부감사활동 실행 단계 408

<4 2-2> 책 임 배분 413

<43-1> 이사회 위험관리 책임 418

 

그 림 목차

<그림 1-1> 위험 매개변수 도해 5

<그림 3-1> 위험 매트릭스 22

<그림 5-1> 부속성 중심의 위험연계 모형 36

<그림 5-2> 위험과 보상 관계 도해 38

<그림 5-3> 위험과 사건 그리고 통제와 충격도해 41

<그림 6-1> 위험관리의 단계 52

<그림 8-1> 기업가치 창출 경로 72

<그림 8-2> 이익의 변동성과 기업가치 72

<그림 8-3> 위험관리 정교화 과정 85

<그림 9-1> 위험관리 절차 89

<그림 9-2> 위험인식/식별 절차 90

<그림 9-3> 위험 인식/식별 업무 플로우차트 95

<그림 11-1> IRM위험관리 프로세스106

<그림 11-2> 위험관리 프레임워크와 위험관리 관 련 맥 락 108

<그림 11-3> 위험관리 프레임워크의 범주 1 09

<그림 11-4> ISO 31000 (2008) 위험관리 프로세스 113

<그림 12-1> 맥락의 3요소 (위험관리

프 레임워크의 범 주) 115

<그림 13-1> 부문별 위험관리와 전사적 위험관리의 비 교 122

<그림 13-2> COSO 전사적 위험관리 큐브 124

<그림 13-3> 전사적 위험관리의 흐름도해 125

<그림 13-4> 목표설정과 관련 프레임워크도해 128

<그림 15-1> 위험사정 과정 도해 155

<그림 15-2> 위험태도 매트릭스 158

<그림 16-1> 위험의 종류, 사건, 충격도해 162

<그림 16-2> 운영위험, 토지및건물, 충격도해 162

<그림 17-1> 위험의 고유, 현재 그리고 목표수준 169

<그림 19-1> 위험의 양면성 178

<그림 20-1> 위험대처 프로세스 186

<그림 20-2> 위험매트릭스와 4가지 대처방법 188

<그림 20-3> 전략의 위험과 성과 194

<그림 20-4> 기회위험과 위험성향 195

<그림 21-1> III구역 위험에 대한 조치/통제 형태 198

<그림 21-2> 순수위험 영역 구분 201

<그림 21-3> 통제효과 예시 206

<그림 21-4> 비용효과 통제 208

<그림 21-5> 통제로부터 얻는 학습 209

<그림 21-6> 위험과 보상 210

<그림 22-1> 캡티브 보험회사의 역할 219

<그림 23-1> 사업지속관리의 발전 과정 226

<그림 23-2> 사업지속계획 모델 229

<그림 24-1> 사업개발 모델 236

<그림 25-1> 사업모델의 구성요소 243

<그림 25-2> 평판요소의 지도화 251

<그림 27-1> 대규모 기업의 위험 아키택처 예시 273

<그림 28-1> 매트릭스상 위험성숙도 285

<그림 29-1> 위험성향, 노출 그리고 용량 290

<그림 29-2> 위험과 불확실성 292

<그림 29-3> 위험성향, 노출 그리고 용량 (위험취약 경우) 294

<그림 32-1> 정부기관의 지배구조 324

<그림 33-1> 핵심 프로세스의 중요성 336

<그림 35-1> 프로젝트 위험 관련 위험 매트릭스 352

<그림 35-2> 프로젝트 주기 353

<그림 35-3> 프로젝트의 기간별 불확실성 354

<그림 38-1> 영국정부의 주요 안전 위험 377

<그림 40-1> CoCo 프레임워크의 기준 392

<그림 42-1> 전사적 위험관리에서 내부 감사의 역 할 407

<그림 42-2> 지배구조, 위험 그리고 준법의무 411

 

 

출판사 서평

 

 

불확실성의 시대,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독서

 

위험관리론 경영과 위험관리는 위험이라는 보이지 않는 적과 싸우는 기업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전략 지침서다.

 

기업 경영 환경은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다. 팬데믹, 지정학적 리스크, 기후 위기, 기술 혁신변화는 예측 불가능하며, 그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기업이 어떻게 위험을 인식하고 대응하며, 나아가 이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저자는 오랜 시간 교직과 실무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방대한 이론과 실제 사례를 하나의 맥락으로 엮어낸다. 위험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전사적 위험관리(ERM), 위험 평가, 위험 대처 전략, 그리고 최근 기업지배구조와 리스크 거버넌스까지 아우르며, 단순한 이론서가 아닌 현장 지향적 전문서로서의 완성도를 보여준다. 특히 ISO, IIA, IRM 등 국제기구의 개념과 용어를 정리하고 한국 기업 환경에 적합하게 재해석한 점은 실무자와 학계 모두에게 유용하다.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지만, 독자 친화적인 설명과 도표, 다양한 분류 체계를 통해 초심자부터 고급 실무자까지 폭넓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책을 왜 읽어야 하는가?

 

단순한 리스크 회피가 아닌, 위험을 자산으로 바꾸는 전략적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다. 특히 ESG, 컴플라이언스, 내부통제, 사업 지속 가능성 등 경영의 핵심 키워드들이 모두 리스크 관리를 기반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위험은 피할 수 없는 존재다. 하지만 잘 준비된 자에게는 기회가 된다. 이 책은 그 준비를 위한 든든한 무기이며, 기업 경영의 필수 교과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위험관리론
저자 박상범
출판사 북퍼브
크기 210*297mm
쪽수 444쪽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2025년 05월 01일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책 제작 가이드 공지사항 견적요청 FAQ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070-4269-9223

평일 AM 10:00 ~ PM 6:00
일/공휴일 게시판 이용해주세요!
Email : abookself@naver.com

1:1 고객서비스

  • 카카오톡
  • 네이버톡톡
  • 블로그

COMPANY

사업자등록번호 : 1109267109
출판등록번호 : 25100-201500000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마포-1828 호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56-13(서교동) 동보빌딩
대표자 : 이영재
전화 : 070-4269-9223
팩스 : 02-383-9996
이메일 : abookself@naver.com
△ TOP